BIND Dns서버 구축 하기 (만든날 2000.10.25) 만든이 
변창수[email protected] DNS의 역할은 도메인(iwav.co.kr) 주소를 ip(211.38.147.154) 주소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데 
일반유저들이 
http://iwav.co.kr 주소를 입력하면 컴퓨터는  설정되어있는 dns서버에 iwav.co.kr 에 대한 ip 을  
확인하여 이 ip을 갖고 원하는 컴퓨터를 찾아간다.  
즉 DNS 의 역할은  
- doamain 을 ip 주소 변환 .
-ip주소를 doman으로 변환 . 
- 캐시서버의 역할  
Nslookup 
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(/etc/resolv.conf ) 파일에 설정된 Dns서버에 접속하여 질의을 할 수 있는 상태 ( >) 가 된다.
이곳에 .도메인(iwav.co.kr) 을 입력하면 이도메인에 대한 ip을 알려 준다.  
DNS 서버구축 하기
 
 우선 /etc/resolv.conf 파일을 열어 본인의 ip 주소로 변경을 햐야 한다. Nameserver 192.168.0.1 Nameserver 192.168.0.2 (여려개의 서버지정가능) Bind 관련 패키지 설치 4개의 관련 패키지들이 있다. 
Bind -  네임데몬 
Bind-utils  -dns관련 유틸 (nslookup)
 Bind -dev   - dns개발 라이브어리(설치 안해도됨) 
Caching-nameserver  -  캐쉬서버파일 
Rpm -Uvh bind*  
Rpm -Uvh caching* 
Hosts 예전에는 /etc/hosts 파일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설정을 안해도 됨 Host 127.0.0.1     localhost        localhost 192.168.0.1  iwav.co.kr       iwav /etc/host.conf Order hosts,bind (dns질의를 하면 hosts에 먼저 질의을 하고 내용이 없다면  bind에 질의를 한다. ) 
Dns기본 설정하기 /etc/named.conf (named.conf 기본적으로 4개의 구문이 들어간다. 1.option ?전체적인 네임서버 옵션 2.캐쉬zone 3. 역 변환zone ? ip을 도메인으로 바꿔주는 역활 4. 도메인zone ? 도메인을 ip 을 바꿔주는 역할 5. Localhostzone  
전체적인 named.conf 구조 
 
Options {
 전체적인 설정 
}; 
Zone{ 
Cachezone
 };
 Zone{ 
Localhostzone
 }; 
Zone { 
역변환zone
 };
 Zone { 
도메인zone 
}; 
Options { 
   Directory  “/var/named” 
   #Forwards {192.168.0.100;192.168.0.200} #도메인조회를 다른 네임서버로 보냄 } ;
 Zone “.” { type hint; File “namd.ca”; }; 
Zone “0.0.127.in-addr.arpa” { Type master; File “named.local”; }; 
#이제 부터 자신이 사용하는 도메인을 설정하는 것입니다. 
 
#Reverse zone 
Zone “0.168.192.in-addr.arpa” {  
             type mster;  
             file “iwav.rev”;
 }; 
 
#primary zone 
Zone  “iwav.co.kr” { 
              type master;  
             file “iwav.zone”;
 };
 
 # 새로운 도메인 추가시 primary zone  만 추가하면됨 
 
Zone “sansung.net” { 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type master;  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file “sansung.zone”;
 };
/var/named 디렉토리에  file에서 지정한 파일을 생성 Iwav.rev  (Reverse zone ) Iwav.zone (primary zone ) Sansung.zone (새로추가한  도메인) Iwav.rev @ IN SOA ns.iwav.co.kr.    root.iwav.co.kr. (              2000091200 ; serial              7200 ; refresh ?2시간              3600 ; retry   - 1               43200;expire ?12               3600 )   ; minimum - 1             IN    NS   ns.iwav.co.kr 1IN    PTR  ns.iwav.co.kr 2IN   PRT   
www.iwav.co.kr 3  
@ IN SOA ns.iwav.co.kr.    root.iwav.co.kr. (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 2000091200 ; serial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 7200 ; refresh ?2시간  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 3600 ; retry   - 1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 43200;expire ?12 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 3600 )   ; minimum - 1             IN    NS   ns.iwav.co.kr             IN    A     192.168.0.1             IN MX 10  mail.iwav.co.kr ns         IN   A      192.168.0.1 www      IN   A      192.168.0.1 Mail       IN    A     192.168.0.1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
새로 추가운 sansung.net  도메인 zone #primary zone 을 그대로 파일이름과 바꿔사용하면 되며 #도메인등록기관에 등록시 primary(ns.iwav.co.kr ) 네임 #서버로 등록 해야 한다.  Sansung.zone @ IN SOA ns.iwav.co.kr.    root.iwav.co.kr. (              2000091200 ; serial              7200 ; refresh ?2시간              3600 ; retry   - 1               43200;expire ?12               3600 )   ; minimum - 1             IN    NS   ns.iwav.co.kr             IN    A     192.168.0.1             IN MX 10  mail.iwav.co.kr ns         IN   A      192.168.0.1 www      IN   A      192.168.0.1 Mail       IN    A     192.168.0.1         
네임 서버 구동 하기 ntsysv 명령어로 named(*) 하여 부팅시 named 서버가 작동하도록 해야 함 /etc/rc.d/init.d/named restart #네임 서 재시작 tail   -f /var/log/messages #네임 서버재시작후 named.conf 오류 검사 네임 서버 테스트 Nslookup >ns.iwav.co.kr >192.168.0.1 
Round robin doman name service 서버의 접속자는 dnszone을 통한 분배 www1   IN    A    192.168.0.100 www2   IN    A    192.168.0.101 www     IN   cname  www1 www     IN   cname   www2 #접속하는 순서대로 돌아가며 접속이 되며 어느서버가 #부하가 많이 걸러 있는지는 파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.